국제앰네스티 규약의 구성
| 정체성 | 비전과 사명 핵심 가치 활동 방식 | | --- | --- | | 구조과 책무성 | 국제운동의 구조와 책무성 국제총회 / 투표 국제이사회 국제운동 지부 / 스트럭처 / 개인 및 국제회원 / 국제운동에서의 탈퇴 / 회원자격 국제사무국 |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의 공식 번역이 아닙니다. 오역에 대한 책임은 55그룹 대표에게 있습니다.
<aside> 💡
Global의 번역 : ‘세계’ vs ‘국제’
국제앰네스티는 인권의 조사와 활동에서 ‘international’보다 ‘global’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자는 국가간 관계라는 의미로 국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인 의미로 쓰인 경우 ‘세계’로, 국제앰네스티 내부 용어로 쓰이는 경우 기존 용어들과의 호환을 고려하고 내외부의 구별이 쉽도록 ‘국제’로 번역했습니다.
Structure의 번역 : ‘구조’ vs 고유명사로서의 ‘스트럭처’
규약에서 ‘structure’가 두 가지 의미로 쓰였습니다. 일반적 의미인 경우는 ‘구조’로, 국제앰네스티 내부에서 지부가 되기 전단계의 조직을 가리키는 경우는 ‘스트럭처’로 번역했습니다.
Movement의 번역 : ‘(인권)운동’, ‘(인권)운동 단체’ vs 고유명사로서의 ‘국제운동’
국제앰네스티는 'movement'를 두 가지 의미로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인권)운동’, ‘(인권)운동 단체’를 의미합니다. 국제앰네스티 내부에서는 한국지부와 같은 국가별 '지부', 지부 전단계의 국가별 '스트럭처', 국제사무국에 직접 가입한 ‘국제회원’을 합한 것을 가리키며, 일반적인 용례와 구별하기 위해 '국제운동'으로 번역했습니다. 과거에는 조직(organization)으로 표현되었으나, 2013년 국제대의원총회에서 movement로 변경했습니다.
</aside>
비전과 사명
핵심 가치
활동 방식
국제앰네스티는 특정한 인권침해 사례에 대해 활동하는 것뿐만 아니라, 모든 정부에 법치주의를 준수할 것과 인권기준을 비준, 이행할 것을 요구한다. 또한 다양한 인권교육 활동을 수행한다. 정부간 국제기구, 개인,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인권을 지지하고 존중할 것을 독려한다.
국제운동의 구조와 책무성